열린게시판
신장장애인 조혈제값 부담돼 빈혈 끙끙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348회 작성일 21-11-12 08:48본문
급여기준 낮아 月 최대 20만원…“급여기준 현실화”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21-11-11 11:01:45
중증 신장장애인은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 혈액세포의 생성을 촉진하는 조혈인자가 감소, 조혈제를 복용해야 하지만 약값이 부담돼 빈혈을 견뎌야 하는 현실이다.
요양급여로 인정되는 약제지만, 급여기준이 현실적으로 낮아 건강의 위험과 경제적 부담 등 이중고를 겪는다는 지적이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등 15개 장애인단체들이 연합한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은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실을 통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기준부에 조혈제 급여 기준을 11g/dl에서 12.9g/dl로 상향 조정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고 11일 밝혔다.
현재 약 9만 7000여 명의 신장장애인 중 75%인 7만 3000여명이 중증으로, 대다수가 조혈제가 필요한 만성신부전증 환자이다.
신장장애 중증은 ‘장애정도판정기준 고시’에 따라 만성신부전증으로 인해 3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사람에 해당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의하면 만성신부전증으로 진료받는 환자가 22만 명(2018)에서 25만 명(2020)으로 매년 늘고 있어 조혈제가 더욱 필요하다.
만성신부전증 환자는 Hb수치(헤모글로빈수치)검사 시 11g/dl을 넘게 되면 요양급여 없이 사비로 조혈제를 구입해야 하지만, 기준이 현실적으로 맞지 않아 많은 신장장애인에게 부담을 주고 있다.
정상적인 Hb수치는 성인 남자 13g/dl, 성인 여자 12g/dl 이상이며, 그 미만으로 내려가면 빈혈이 나타난다. Hb수치에 민감한 환자는 수치가 7~8g/dl까지 급격하게 감소하기도 한다.
그로 인해 빈혈이 심하게 발생하면 두통, 어지러움은 물론이고 숨이 차 심장에 무리를 주기도 해 위험한 것.
솔루션 관계자는 “요양급여를 받지 않으면 한 달 비용이 8만원~20만원(1개월 평균 12회 투여)으로 부담이 된다”면서 “건강의 위험과 경제적 부담을 둘 다 떠안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해외에서는 조혈제 급여기준이 현실적이다. 일본은 만성콩판병 빈혈치료 진료지침 상 Hb 12.9g/dl까지 보험급여를 인정하고 있으며,
미국신장재단의 치료지침 KDOQI 가이드라인은 조혈제 치료 목표 수치로 11~12g/dl로 제시했다.
유럽 또한 빈혈치료에 관한 지침으로 Hb 10~12g/dl을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솔루션 관계자는 “해외에서는 대부분 정상 수치에 매우 근접하게 기준을 뒀다”면서 “우리나라도 Hb수치가 정상 수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혈제 급여 기준이 완화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해당 안건에 대한 진행 경과는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홈페이지(http://kodaf.or.kr/) 제도개선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21-11-11 11:01:45
중증 신장장애인은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 혈액세포의 생성을 촉진하는 조혈인자가 감소, 조혈제를 복용해야 하지만 약값이 부담돼 빈혈을 견뎌야 하는 현실이다.
요양급여로 인정되는 약제지만, 급여기준이 현실적으로 낮아 건강의 위험과 경제적 부담 등 이중고를 겪는다는 지적이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등 15개 장애인단체들이 연합한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은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실을 통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기준부에 조혈제 급여 기준을 11g/dl에서 12.9g/dl로 상향 조정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고 11일 밝혔다.
현재 약 9만 7000여 명의 신장장애인 중 75%인 7만 3000여명이 중증으로, 대다수가 조혈제가 필요한 만성신부전증 환자이다.
신장장애 중증은 ‘장애정도판정기준 고시’에 따라 만성신부전증으로 인해 3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사람에 해당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의하면 만성신부전증으로 진료받는 환자가 22만 명(2018)에서 25만 명(2020)으로 매년 늘고 있어 조혈제가 더욱 필요하다.
만성신부전증 환자는 Hb수치(헤모글로빈수치)검사 시 11g/dl을 넘게 되면 요양급여 없이 사비로 조혈제를 구입해야 하지만, 기준이 현실적으로 맞지 않아 많은 신장장애인에게 부담을 주고 있다.
정상적인 Hb수치는 성인 남자 13g/dl, 성인 여자 12g/dl 이상이며, 그 미만으로 내려가면 빈혈이 나타난다. Hb수치에 민감한 환자는 수치가 7~8g/dl까지 급격하게 감소하기도 한다.
그로 인해 빈혈이 심하게 발생하면 두통, 어지러움은 물론이고 숨이 차 심장에 무리를 주기도 해 위험한 것.
솔루션 관계자는 “요양급여를 받지 않으면 한 달 비용이 8만원~20만원(1개월 평균 12회 투여)으로 부담이 된다”면서 “건강의 위험과 경제적 부담을 둘 다 떠안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해외에서는 조혈제 급여기준이 현실적이다. 일본은 만성콩판병 빈혈치료 진료지침 상 Hb 12.9g/dl까지 보험급여를 인정하고 있으며,
미국신장재단의 치료지침 KDOQI 가이드라인은 조혈제 치료 목표 수치로 11~12g/dl로 제시했다.
유럽 또한 빈혈치료에 관한 지침으로 Hb 10~12g/dl을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솔루션 관계자는 “해외에서는 대부분 정상 수치에 매우 근접하게 기준을 뒀다”면서 “우리나라도 Hb수치가 정상 수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혈제 급여 기준이 완화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해당 안건에 대한 진행 경과는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홈페이지(http://kodaf.or.kr/) 제도개선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